본문 바로가기

생활정보통

전입신고 직접 가지 마세요! 5분 안에 온라인으로 끝내는 법 공개

전입신고 온라인으로 5분 해결! 신혼부부가 겪은 실제 절차와 체크리스트 (2025 최신)


“여보, 동사무소 들러야 하나?”
지난주 저희 부부는 결혼 후 첫 이사를 했습니다.
주말 동안 박스를 뜯고 정리하다가 문득, 전입신고 생각이 났죠.

“설마 요즘도 직접 가야 하나...”
다행히 정부24 사이트에서 온라인으로 5분 만에 끝낼 수 있었어요.
혹시 저희처럼 처음 전입신고를 해보는 분들을 위해,
실제 경험 바탕으로 온라인 전입신고 절차 + 체크리스트를 정리해봅니다.


✅ 전입신고 온라인 신청 전 체크리스트

항목확인사항
📍 준비물 공동인증서 또는 간편인증 수단 (카카오, 삼성 등 가능)
🖥 접속 사이트 정부24 또는 모바일 앱 ‘정부24’
🏠 새로운 주소지 실제 거주 중인 주소여야 함 (허위 신고 시 과태료 발생)
📄 세대주 여부 단독세대인지, 합가인지 확인 후 해당 옵션 선택
⏱ 신청 기한 이사한 날로부터 14일 이내 신청해야 함
💸 수수료 무료, 단 전입일자는 정확히 입력해야 함
 

🧭 전입신고 온라인 절차 (정부24 기준)

  1. 정부24 홈페이지 접속 → 로그인
  2. 상단 [민원서비스 → 전입신고] 선택
  3. 신청자 정보 자동 불러오기
  4. 이전 주소 / 새 주소 입력
  5. 세대구성 선택 (신규세대 / 기존세대 편입 등)
  6. 신청 완료 → 민원처리결과 문자로 발송됨

처리 기간은 보통 1~2일 소요되며, 확인 후 ‘주민등록등본’ 발급 가능


❗️주의사항 (꼭 읽어보세요!)

  • 허위 주소 입력 시 과태료 최대 5만 원 부과될 수 있습니다.
  • 전입신고가 완료돼야 건강보험료 조정, 출산장려금, 교육지원 등에 영향 있음
  • 세대주 변경을 원할 경우에는 별도 신청 필요 (정부24 내 '세대주 변경신고' 메뉴 이용)

👀 우리 부부가 느낀 팁

  • PC로 하면 화면이 더 넓고 편해요. 모바일도 가능하긴 합니다.
  • 프린터 없이도 OK: 전입신고 후 문자로 결과 확인 가능
  • 혼인신고가 끝난 상태여야 세대 병합도 원활히 처리돼요

📝 요약 정리

항목내용
신청 사이트 정부24 (gov.kr)
인증 방법 공동인증서 or 간편인증
신청 대상 실제 전입한 국민 누구나
비용 무료
처리기간 보통 1~2일
제출 필요서류 없음 (전자 처리)
신청기한 이사 후 14일 이내